[중앙일보 권석천.박종근] 영화 ‘섹스 볼란티어’는 장애인의 성(性)이란 민감한 주제를 다룬다. 장애인을 위한 성 자원봉사(Sex volunteer)가 과연 사회적으로 비난받아야 하느냐는 물음을 던진다. 2009년 상파울루 국제영화제 대상에 이어 2010년 싱가포르 국제영화제 최우수작품상을 받았다. 올해 4월엔 인터넷으로 개봉돼 42만 명이 관람했을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다. 이 영화엔 짧은 머리에 진한 눈썹을 지닌 젊은이 한 명이 죄수 역으로 나온다. 이 배우의 이름은 김용희(31). 그의 실제 직업은 판사다.



서울중앙지법 소속인 그는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사법시험에 합격해 사법연수원(34기)을 수료했다. 법복을 입은 지 3년째다. 김 판사를 지난달 30일 밤 중앙일보 스튜디오에서 만났다. 발성 훈련으로 단련된 그의 목소리는 진지함과 발랄함 사이를 쉴 새 없이 오갔다.

●‘섹스 볼란티어’에 출연한 과정이 궁금하다.

“3년 전 군 법무관으로 있을 때 홍승기 변호사가 전화를 걸어 오셨다. 자신이 ‘노 개런티’로 영화에 출연하는데 같이했으면 좋겠다는 얘기였다(홍 변호사는 주연급인 신부 역으로 출연했다). 영화라는 작업은 내게 호기심 나는 도전이었다.”

● 감독이 김 판사를 캐스팅한 이유는.

“무료 출연이란 것도 영향을 미쳤을 테고, 연기상을 받았던 경험도 있고 하니까….”

● 연기상이라면.

“2006년 춘천에서 법무관 생활을 할 때였다. 지역 극단인 ‘굴레’에서 활동했는데 강원연극제에서 ‘미라클’이란 작품으로 최우수연기상을 받았다. 식물인간 상태로 호흡기를 달고 있는 환자의 영혼을 연기했다. 운이 좋아서 정말 좋은 역을 맡게 됐다. 몸의 느낌이 기억에 남아 있어서 지금도 버스 타고 가다 대사를 입에 굴리면 눈물이 맺힐 정도다.”

● 연기를 시작한 것은.

“어렸을 때부터 스토리 짜고 남들 앞에서 연기하는 것을 좋아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연기를 시작한 것은 대학에 들어가서다. 연극 동아리 ‘법대 연극 사단’에서 4학년 때까지 내내 연극만 하면서 보냈다.”

● 배우가 그렇게 좋았나.

“무대에 서는 것은 마약과 같다. 무대에 서면 처음 눈이 부시다가 차츰 관객들이 눈에 들어온다. 그들이 내 연기를 보고 울고 웃는 게 보인다. 손을 움직이면 손 끝에 관객 300명이 쭉 따라온다. 그렇게 내가 몰입하고, 또 관객들이 몰입할 때의 느낌은 말로 설명하기 어렵다.”

● 지금까지 몇 가지 역할을 했나.

“연극과 단편영화를 포함해 15번 정도 공연을 했는데 교수, 배우, 하숙집 관리인, 고등학생, 탈영 군인…. 아, 판사 역도 있었다. 코뿔소 역할도 했다. 동물의 왕국을 보면서 연기 연습을 했다. 지역방송 재연배우로 ‘불륜남’ 역을 하기도 했다.”

● 사법시험을 준비한 계기는.

“대학 3학년 말에 사법시험 원서 내고 시험을 치르지 않았다. 부모님께 ‘연기하는 직업을 갖고 싶다’고 말씀드렸다. 많이 놀라셨는데 ‘네가 진짜 하고 싶은 것을 찾아보라’고 하셨다. 그때 부모님께서 강요하셨다면 내 삶이 지금과는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4학년 1학기 몇 달 동안 배우 선생님들, 영화 하시는 분들을 찾아다녔다. 한예종(한국예술종합학교) 캠퍼스에서 서성거리기도 했다. 내가 어떤 사람인가를 난생처음 주체적으로 생각한 시간이었다.”

● 결론은 무엇이었나.

“무대의 길은 성공을 목표로 하는 게 아니다. 도를 닦는 것이다. 지금도 연극 하는 친구들에게 술 마시자고 하면 ‘차비가 없어 못 나간다’고 한다. 그렇게 극한의 예술가로 살 자신이 없었다. 법조인은 가능성이 열려 있는 직업으로 다가왔다. 법조인과 연기, 두 길을 모두 걷는다면 좀 더 넓게, 풍요롭게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사람이 많아지면 세상이 재미있어지겠구나, 이런 생각이 들었다.”

● 책상에 앉아 있기가 쉽지 않았을 것 같다.

“빨리 시험 공부 끝내고 연기를 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신나게 공부했다. 목표를 정해 놓고 게임하듯이 했다. 민법 교과서 표지에 ‘이효리’라고 써놓고 ‘이효리와 5시간 동안 데이트해 볼까’ 하고 책을 폈다. 그렇게 해서 2년 만에 합격했다.”

● 법조계 분위기가 보수적이지 않나.

“판사들 가운데 자유로운 영혼도 많지만 아무래도 사회를 지키는 역할을 하다 보니 보수적인 면이 있는 것 같다. 판결은 객관적인 해석이 중요하고, 판결문도 개성을 드러내기보다는 객관화된 문체로 전달해야 한다.”

● 배우 경험이 판사 생활에 주는 도움이 있다면.

“몰입할 수 있는 감성을 키워주는 것 같다. 판사는 사건 기록을 보고 재판을 하면서 당사자 입장에 들어갔다 빠져 나와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일이다. 맡은 역할에 몰입해야 하는 배우와 비슷한 면이 있다.”

● 재판을 하다 보면 증인이나 피고인이 연기하는 것, 거짓말하는 것이 잘 보이지 않나.

“간혹 보일 때도 있다. 그러나 그런 느낌이 틀리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속단은 피해야 한다. 재판 경험이 많아야 증인 보는 능력이 생기는 것 같다.”

● 새로 해보고 싶은 역할이 있다면.

“영화 ‘색계’의 양조위 역할이 매력적이었다. 감정을 폭발 직전까지 끌어올린 뒤 덤덤한 말투와 미간의 찌푸림으로 표현해 내는 내면 연기가 놀라웠다.”







'■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준비  (2) 2010.07.21
My spirits  (0) 2010.07.05
추억에는 아무런 힘도 없다.  (0) 2010.07.02
법오테이블 종강파티  (0) 2010.07.01
순간의 역사, 역사의 순간  (2) 2010.06.30
Posted by honey,H
,